유머&이슈

다시 일어선 자작나무, 그리고 백석의 시 한줄

컨텐츠 정보

본문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아래는 강원도 인제군의 자작나무들.

 


998d9e4104bb757cd8f28da9caff2ee0__ace0979fa30891af04e34952f70932d6d96f4ba5.jpg

 

 

 

998d9e4104bb757cd8f28da9caff2ee0__282fe2f16b05d8b484a07df5b5c71853eb31a43c.jpg

 

 

 

998d9e4104bb757cd8f28da9caff2ee0__0f1ffd006da8ca349f78db77139072619a3dc211.jpg

 

 

 

 

 

이 자작나무들이 지난 겨울 수난을 겪음.  

 

998d9e4104bb757cd8f28da9caff2ee0__3c756429c91795a0b3cbe300c643e1945777c61e.jpg

 

 

 

낮에 비가 왔는데

밤에 기온이 급강하 하면서 얼어붙었고

 다시 그 위에 눈이 내리면서

그 무게를 견디지못하고 많은 수가 심각하게 휘어짐.

 

 

998d9e4104bb757cd8f28da9caff2ee0__e90838ac55a0d6f8c1b6ed03812f13039127f837.jpg

 

 

 

998d9e4104bb757cd8f28da9caff2ee0__33023fe9e90fe00dcb5c8e858857259e4e70a1c7.jpg

 

 

 

998d9e4104bb757cd8f28da9caff2ee0__b44d717456eb63b4b3f3b2153e5f4c1c3a4bdf73.jpg

 

 

 

일반적인 관점에서는 '회복 불가능'의 상황이었는데

 

기적처럼 많은 수의 자작나무가 다시 일어섬.   

 

 

998d9e4104bb757cd8f28da9caff2ee0__54daa3a527a612af34e5ed59d2482fb11afab96d.jpg

 

 

 

998d9e4104bb757cd8f28da9caff2ee0__e05c2b02aad523e185f71b212da9380eb5fecd8d.jpg

 

 

998d9e4104bb757cd8f28da9caff2ee0__921bea6fbdd3076aaa9a1aac2f4b3ddfe64a0c2c.jpg

 

 

 

대개의 자작나무가 다시 일어서는 현상을 보임.


 

998d9e4104bb757cd8f28da9caff2ee0__3e507b60f12d9fa19d7534e5d78c41bb1ff8ae23.jpg

 

 

 

영상 출처 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zxWK0InVfCU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 

시인 백석(1912~1995)이 1938년 함경남도 함주에서 쓴 〈백화(白樺)〉라는 시.

 

(백화(白樺) - 자작나무의 한자 표기)

 


산골집은 대들보도 기둥도 문살도 자작나무다

밤이면 캥캥 여우가 우는 山도 자작나무다

그 맛있는 메밀국수를 삶는 장작도 자작나무다

그리고 甘露같이 단샘이 솟는 박우물도 자작나무다

山너머는 平安道 땅이 뵈인다는 이 山골은 온통 자작나무다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(백석은 일제 때의 민족문학가로 유명한 인물 중 한사람.) 

 

북한에는 자작나무가 아주 많음.

 

 

 

 

서울 성북동 <길상사>


998d9e4104bb757cd8f28da9caff2ee0__338b33e38af2606305a180b9b0cdd685ad8fae7e.jpg

 

 

998d9e4104bb757cd8f28da9caff2ee0__878d5f871264fe0385682cbd95a096dcab39646f.png

 

 

 

 

 

이 절의 터를 기부한 사람이 

위에 나온 시인 백석의 젊은 시절 연인이었던 김영한.

 

김영한은 <대원각>이라는 고급 한정식집을 운영하고 있었는데

그 땅 7천평을 절을 지으라고 법정 스님에게 내놓았고

그래서 이 절이 지어지게 됨.

 

당시 이 터의 가치는 1천억 정도였다는데 

"아깝지 않은가?"라는 사람들의 질문에

"내 옛연인 백석의 시 한줄만도 못하다"는 대답이 유명.

(김영한은 평생 홀로 살았다 함.)

 

사랑은 거의 사라지고 거래, 욕심만 난무하는 이 시대에...

 

 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관련자료

댓글 0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전체 2,181 / 11 페이지
번호
제목
이름

공지글


최근글


새댓글


  • 댓글이 없습니다.

포인트랭킹


알림 0